English/Materials 로빈철 2019. 3. 30. 14:23
9쪽 피아노, 오르간, 바이올린과 첼로를 연주하는 것을 배웠다. 1834년에 시작하여, 루이는 오르간 연주를 하였다 / 몇몇 파리의 교회에서. 1821년에 루이 브라유는 소노그라피를 배웠다 - 야간 읽기, 즉 볼록한 점과 대시(-)로 된 암호-. 그것은 발명되었다 / 샤를 바르비에에 의해서, 프랑스 군대의 대위였던, 그래서 병사들은 메세질ㄹ 읽을 수 있었다 / 어둠 속에서 / 등불을 켜지 않고서도. 병사들은 그 메시지를 (손으로) 느낄 수 있었다. 루이 브라유는 몹시 기뻤다 (기뻐서 흥분)/ 소노그라피에. 그는 그걸 이용할 수 있었다 / 읽고 쓰기 위해서. 그러나 그는 재빨리 그 (소노그라피의) 체계의 문제점들을 보았다. 글자 하나를 쓰는 데 아주 많은 점들이 필요하였다. 숫자와 (맞춤법의) 구두점을 위..
English/Materials 로빈철 2018. 11. 14. 12:24
There are a few days to remember and celebrate even when we are busy making a living. Above all, parents' birthdays and husband's and wife's and also children's birthdays are too important to forget. Today it's my birthday. I called my parents yesterday and this morning. We don't talk much like daughters and moms. But when I don't call for a while, they're very worried and can't sleep well. Birt..
English/Materials 로빈철 2018. 11. 10. 13:03
떡집 딸은 가래떡데이라고 한다. 그 집 딸이 중학교 다닐 때 집에서 떡을 갖고와서 돌렸다고 들었다. 맛있는 가래떡을 예쁘게 포장해서 주신 그 아버지어머니의 마음이 참 따뜻하게 느껴진다. 어제는 에스더가 빼빼로를 사와서 선생님들과 내게 하나씩 주었다. 말도 글도 없지만, 고맙게 잘 먹었다. 특별한 메시지가 없어도 마음이 전해지면 최고지. 젓가락 행진곡을 연주하면서 놀았던 추억이 있다면 내일은 또 그 친구가 생각나는 날일 수도 있겠다.중3때 음악실에서 두 친구가 신나게 두들기던 모습이 기억난다.
English/Materials 로빈철 2018. 11. 1. 15:29
중학교 2학년 내신대비 시작 : 11/19 중학교 3학년, 고등학교 1학년 내신대비 시작 : 11/12
English/Materials 로빈철 2018. 10. 29. 10:00
아침 시간에 책 한 줄, 한 페이지를 읽는다.오늘은 여러가지문제연구소장이신 김정운님의 책이다 1부 남자에게 불안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인간은 불안하다. 유한한 존재는 죄다 불안하다. 그 불안의 실체는 시간이다. 도무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모르기 때문이다. 죽음에 대한 불안도 마찬가지다. 모든 사람은 죽는 것을 두려워한다. 그러나 잘 들여다보면 죽는 것을 두려워하는 게 아니다. 언제 죽을지 모르기 때문에 두려운 것이다. 죽음에 대한 불안 또한 그 본질상 시간에 대한 불안이다. 시간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기 전, 인류는 자연을 두려워했다. 도무지 통제가 안 되기 때문이다. 자연에 대한 두려움을 인간은 스스로의 의식을 바꾸는 방식으로 극복했다. 3차원의 공간을 2차원으로 바꿔버리는 기술을 만들어낸 것이..
English/Materials 로빈철 2018. 10. 13. 16:11
주변 고등학교 1학기 중간고사 /기말고사 / 2학기 중간고사까지 시험지를 전부 구하여서 자세히 분석했습니다. 시험지를 보면 내신교과서와 부교재의 비율, 모의고사 변형 정도와 난이도를 다 판단할 수 있습니다.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영어 학원은 맡은 학교시험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선생님들 간의 토론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.시험지와 분석자료집을 자주 들여다보고, 미리 준비를 하면서 정규수업 / 특강수업을 합니다.
English/Materials 로빈철 2018. 10. 10. 09:05
우리 나라 영어 수업과 교재에서는 잘 안보이는 Native English 표현이 많습니다. 영어를 가르치며 배운다는 것이 딱 맞는 상황이지요.아무리 훌륭한 영어강사라도, 또는 native 수준의 회화선생님이라도 늘 겸손하게 배울 따름입니다. Putting two and two together, I assume that this was the car he used. (이것 저것 아는 것을 통해 추론해서 결론내보니, 난 이게 그가 썼던 차라고 봅니다) 응용해보자면, 너 어떻게 그의 직업을 알게 되었니 ? 음, 이것저것 보고 알게 되었지. How did you know his job ? Well, I put two and two together. 이런 표현들은 사실 원어민들도 그 유래를 알지 못하고, 쓰는 표..